본문 바로가기

내가 처음 키운 실내 식물, 선인장 키우기

📑 목차

    내가 처음 선인장을 집에 들였을 때 나는 ‘이 식물만큼은 잘 키울 자신이 있었고 절대 죽지 않겠지’라고 확신했다. 선인장은 실내식물 관리가 쉬운종류로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되고, 햇빛이 조금만 있어도 잘 자란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내가 처음 키운 실내 식물, 선인장 키우기
    실내식물

     

    하지만 현실은 전혀 달랐다. 퇴근 후 돌아온 어느 날, 푸르던 선인장의 줄기가 갑자기 무너져 내렸고, 손끝에 닿자마자 물컹하게 부서졌다. 그때서야 나는 단순히 ‘키우기 쉬운 식물’이라는 말이 얼마나 위험한 오해인지 깨달았다. 이 글은 내가 처음으로 선인장을 키우며 겪은 실패의 기록하며 식물관리 의 기본원리를 배우며,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반성문이다.

     

    1. 햇빛이 아니라 ‘직사광선’이 문제였다

    나는 처음에 선인장을 창문 바로 옆에 두었다. 선인장은 사막의 식물이라 햇빛을 많이 받을수록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자 선인장의 줄기 한쪽이 누렇게 변하기 시작했다. 나중에 찾아보니, 선인장은 강한 직사광선보다는 ‘밝지만 간접적인 햇빛’을 선호하는 실내식물이었다. 특히 여름철의 창가 온도는 생각보다 높아서, 작은 화분 속 흙이 40도 가까이 달아오를 수도 있었다. 나는 그 사실을 몰랐다. 식물이 말라서 물이 부족한 줄 알고 물을 자주 줬는데, 실제로는 뿌리가 열과 습기에 동시에 시달리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내 선인장은 과열된 흙 속에서 숨을 쉬지 못한 채 서서히 썩어가고 있었다.

     

     2. ‘물 한 방울’이 생명을 살리기도, 앗아가기도 한다

    처음에는 선인장에게 물을 일주일에 한 번씩 줬다. 나는 다른 실내식물처럼 물을 주었던 것이다. 그런데 잎이 쭈글쭈글해지는 걸 보고 불안해져서, 이틀에 한 번으로 바꿨다. 그게 치명적인 실수였다. 선인장은 흙 속에 물이 오래 머물면 뿌리가 썩는다. 흙 겉면이 마른 것처럼 보여도, 속은 여전히 축축할 수 있었다. 나는 그걸 확인하지 않고 물을 더 부었다. 나중에 화분을 비웠을 때, 뿌리 부분이 검게 물러 있는 걸 보고 충격을 받았다. 그때부터 나는 ‘손가락 테스트’를 배우기 시작했다. 흙 속 3cm 정도를 손가락으로 눌러봤을 때 촉촉하면 아직 물이 필요한 때가 아니다. 이 간단한 방법만 알았어도 내 선인장은 그렇게 빨리 죽지 않았을 것이다.

     

     3. 실내식물은 통풍과 흙의 차이가 생사를 가른다

    나는 예쁜 화분에만 집중했다.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하얀 세라믹 화분을 골랐고, 밑에 배수 구멍이 없는 걸 그저 디자인적 특징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통풍이 되지 않는 흙, 배수가 되지 않는 화분은 선인장에게 치명적이었다. 흙 속의 산소가 차단되면 뿌리는 금세 약해지고 곰팡이가 생긴다. 게다가 나는 마사토나 펄라이트 같은 배수용 흙을 섞지 않고 일반 원예용 흙만 사용했다. 물은 갇히고, 통풍은 막히고, 결국 선인장은 스스로를 지탱하지 못했다. 식물이 죽은 후에야 나는 “예쁜 화분보다 숨 쉴 수 있는 화분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배웠다. 그 뒤로는 밑이 뚫린 화분만 쓰고, 흙을 섞을 때도 모래를 꼭 포함시킨다.

     

    결론: 실내식물은 ‘관심’보다 ‘이해’가 필요하다

    지금 돌이켜보면, 나는 선인장을 ‘관리 대상’으로만 여겼던 것 같다. 물을 주고 햇빛을 쬐게 하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그건 단순한 관심일 뿐이었다. 실내

    식물은 생물이고, 각자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내가 해야 했던 일은 돌보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었다. 왜 잎이 노랗게 변하는지, 흙이 어떤 냄새를 내는지, 그 작은 신호들을 놓쳤던 게 가장 큰 이유였다. 선인장을 시들게 만든 진짜 원인은 무지가 아니라 ‘무심한 확신’이었다. 지금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매일 식물의 상태를 관찰하고, 작은 변화에도 귀 기울인다. 선인장은 떠났지만, 그 식물 덕분에 나는 생명을 대하는 태도를 배웠으며 실내식물 관리 방법의 핵심은 정성보다 이해다.